top of page
Search

부동산 투자 세금 혜택

미국 부동산 투자에는 세금혜택이 많다. 부동산에 투자해서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은 임대수입과 시가상승 두 가지이며 미국 부동산 세법은 이 두가지 수익에 관해 세금을 내지 않거나 연기 또는 면제를 받을 수 있어서 재산 증식이 유리하고 상속 시 큰 도움이 된다.


미국 부동산은 거주용 주택과 투자용 부동산으로 구분되는데 거주용 주택은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 한 채에 적용되고 나머지 소유 부동산은 세법상 모두 투자용 부동산으로 취급되며 투자용 부동산에도 여러 세금 혜택이 적용된다.


투자용 부동산은 개인 명의나 법인체 형태로 소유할 수 있고 LLC, LP, Corporations, TIC, DST 등 여러 형태로의 신디케이션 형태로 소유 가능하다. 이중에 DST(Delaware Statutory Trust) 부동산은 연방 국세청(IRS)이 2004년에 Revenue Ruling 2004-86를 발표함으로 생긴 새로운 부동산 지분투자 형태로 많은 세금혜택을 누릴 수 있는 유일한 지분투자이다. 특히 세금연기와 세금면제를 동시에 누릴수 있는 1031 Exchange가 허용되며 임대수입에 대한 세금유예 혜택으로 부동산 관리가 어려워 투자를 피하던 고소득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1. 감가상각(Depreciation)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소유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가가 상승하는데 미국 세법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물이 낡아 가치가 하락한다고 가정하기에 건물가의 일부를 감가상각으로 경비처리를 할 수 있게 해주어 임대수입과 상쇄할 수 있기에 임대수입이 있는 경우에도 비과세가 될 수 있다.


2. 양도소득세금 연기


부동산을 장기적으로 소유하면 대부분의 경우 시가가 상승한다. 이는 임대수입이 매년 증가하고 또 새로운 건물을 짓는데 드는 자재비와 인건비가 인플레이션 따라 상승하기에 당연한 결과다. 그래서 장기소유한 부동산을 팔면 대부분 양도소득이 발생하고 감가상각을 한 부분까지도 양도소득에 포함이 되어 양도소득 세금이 막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미국 세법은 해당 부동산을 팔고 발생하는 모든 자금을 다른 부동산으로 재투자하면 판 부동산에서 생긴 양도소득세금(감가상각 포함)을 연기해 주는 1031 Exchange라는 세법이 있다. 최대 40% 정도 되는 양도소득세를 내지않고 다음 부동산에 재투자할 수 있음으로 복리증식의 개념으로 부동산 재산을 증식할 수 있는 것이다. 1031 Exchange는 회수에 제한이 없음으로 평생 여러번 활용할 수 있어서 부동산 증식에는 가장 유리한 세법이다.


3. 은행 융자(Leverage)


미국에서 투자 시 은행 융자를 받을 수 있는 투자상품은 부동산이 거의 유일하다. 일반적으로 주식이나 금 등 현물에 투자하면 은행 융자가 어렵지만 부동산은 구입가의 약 50% 정도는 은행에서 빌릴수 있다. 이는 Leverage(지렛대) 효과를 발생하여 투자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DST 부동산 경우도 대부분 50% 정도 은행 융자가 가능하여 100만달러 투자하면 전체적으로는 200만달러의 지분투자가 이루어진다. 이는 Leverage(은행 돈)를 활용하여 감가상각경비 혜택과 시가상승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게 해준다.


4. 상속 시 양도소득세 면제


미국의 부동산 부자들은 재투자(1031 Exchange)를 통해 양도소득 세금을 내지 않고 부동산을 증식하며 이 부동산을 상속으로 후세에게 남긴다. 상속할 경우 상속인이 죽은 날짜의 시가로 부동산의 세금기준이 재평가(Step[-up Tax Basis) 되기에 그동안 연기해왔던 양도소득 세금과 감가상각 세금이 말소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5. 상속세 면제


2020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상속세 면제액은 부부인 경우 2,316만달러, 약 270억원이며 개인인 경우는 절반인 1,158만달러, 약 135억원이다. 그리고 상속을 하지 않고 증여를 할 경우에도 상속세법을 적용시킬 수 있는 선택권이 있기에 살아생전 재산을 나누어 주어도 위와 같은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 부부 중 한사람이 먼저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죽기 전에 Living Trust(생전신탁)를 만들어서 부부가 받을 수 있는 전체금액을 신탁을 통해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 혜택은 미국 영주권자와 미국 시민권자에게만 적용된다.

Recent Posts

See All

2023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세계가 경기침체란 화두로 작년부터 어려운 시기의 연속입니다. 이럴 때 일수록 더 철저히 세금보고도 준비하여 비지니스나 가정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는 바램입니다. 올 한해도 항상 복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1. 세금보고 시기 - 비지니스 : 1월 24일부터 3월 15일 - 개인세금 : 1월 24일부터4

‘13월의 월급’으로 기대되는 세금보고 시즌이 이번 달 말부터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2022년도 소득분에 대한 세금보고 준비 작업에 대한 한인 납세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올해는 특히 팬데믹 시절 경기부양을 위해 한시적으로 시행됐던 각종 세제 혜택 조치들이 대거 환원됨에 따라 세금보고 시즌을 앞두고 한인 납세자들의 주의와 사전 준비가 요구되는 시기다.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서 엔데믹 시대로 접어드는 2023년은 그 어느 해보다도 우리에게 도전의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고금리, 고물가 속에 경제 침체와 경기 연착륙으로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노동 관련 법과 세법 등 경제 관련 법들도 새롭게 적용되는 시점이라 한인 가정과 비즈니스들이 새로운 규정들

bottom of page